창비 가을호를 읽었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 놀라웠다. 지난 여름 너무 많은 일이 있었고 6월초에 기획을 마쳤을 가을호에 그것이 반영되기 어려웠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잡지가…… Read more “창작과비평, 2020년 가을호”
카테고리: 계절의소설
문학동네, 2020년 여름호(「그런 생활」 이야기를 포함해)
<문학동네> 여름호 소설에 관해서는 아래에 짧게 감상을 남기고, 아무래도 지금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쓸 수밖에 없겠다. 나는 공교롭게도 가을호 원고 한 꼭지를 청탁 받았고, 여전히 고민 중이다.…… Read more “문학동네, 2020년 여름호(「그런 생활」 이야기를 포함해)”
문학과사회, 2020년 여름호
문사 여름호를 읽었다. 아무래도 하이픈 쪽에 눈길이 많이 갔는데, 일단 본권을 보면. 의욕적으로 확대되었던 리뷰 지면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듯해 좀 아쉽다. 두 권씩 묶어 필자들에게 리뷰를…… Read more “문학과사회, 2020년 여름호”
창작과비평, 2020년 여름호
창비 여름호를 읽었다. 아무래도 특집란에 먼저 눈길이 갔는데,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다. 강경석 평론가의 “혁명의 재배치”는 나에게 이제야 페미니즘이 혁명임을 ‘겨우’ 인정하는 글로 보였다. 이건 전혀 폄하나 조소의…… Read more “창작과비평, 2020년 여름호”
문학동네, 2020년 봄호(젊은작가상 이야기를 포함하여)
또 ‘포함하여’ 운운 글을 쓰니 좀 민망하다. 아무튼 여름호가 막 쏟아져 나오기 시작해서 얼른 봄 얘기를 끝내야 되겠다는 마음도 있고, 특히 문동 여름호 소식이 들리기 전에 업로드…… Read more “문학동네, 2020년 봄호(젊은작가상 이야기를 포함하여)”
문학과사회, 2020년 봄호(별점의 변을 포함하여)
오랜만에 블로그 글을 쓴다. 코로나로 한 서너 달 동안 정신이 없었던 것 같다. 닥친 일들을 하기는 했는데 성과도 별로 없는 것 같고, 아무튼 좀 무의욕 상태가 지속되었다.…… Read more “문학과사회, 2020년 봄호(별점의 변을 포함하여)”
창작과비평, 2020년 봄호
창비 봄호를 읽었다.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글들이 실려 있으면서도 그것들이 대부분 자본주의에 대한 ‘회의’와 그 대안에 관한 것이어서 동떨어져 읽히지 않았다. 다만 지난 2개월 정도…… Read more “창작과비평, 2020년 봄호”
문학3, 2020년 1호
<문학3> 2020년 1호를 읽었다. 디자인이 굉장히 화사해졌고, 판형도 좀 달라졌다. 예전의 약간은 부담스럽던 ‘길이’가 줄어 일반적인(?) 문예지 사이즈(신국판보다는 조금 큰?)가 됐다. 실려 있는 글들도 대체로 좋았다.…… Read more “문학3, 2020년 1호”
릿터, 2019.12-1 / 악스트, 2020.1-2
악스트와 릿터를 읽었다. 릿터는 이미 22호도 나왔고, 크릿터 2호에, <한편>까지 있어서 뭔가 너무 늦은 감이 있지만 아무튼 읽은 기록을 좀 남기기로. 릿터야 뭐 늘 재밌는 글이…… Read more “릿터, 2019.12-1 / 악스트, 2020.1-2”
문학동네, 2019년 겨울호
<문학동네> 101호를 읽었다. 몇 년 전 1세대 편집위원들이 물러나는 쇄신이 있었지만 101호부터 시작되는 변화가 더 큰 것 같다. 김건형, 인아영 등 젊은평론가의 합류와 디자인, 체제의 변화…… Read more “문학동네, 2019년 겨울호”